산업혁명 3

일본경제의 빛과 그림자 (8)근대 일본의 경제발전과 전쟁

일본경제의 빛과 그림자 (8)근대 일본의 경제발전과 전쟁 (해설)우리는 일본경제에 대하여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으나 그들이 보여준 경제사에서의 놀라운 업적은 결코 무시해서도 잊어도 안 될 것이다. 어느 나라 어느 경제도 영원한 번영은 불가하다. 현재의 실패나 침체 때문에 번영의 시대까지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일본경제의 번영과 침체의 역사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찾아보기로 하자. 1880년 무렵 일본정부는 재정위기에 빠져 있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운 에도막부를 타도한 ‘천황파’세력이 세운 메이지정부는 제국주의 열강에 대항할 수 있는 강한 나라를 세우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징병제로 강군을 만들고자 했고 의무교육을 통해 충성스러운 국민을 양성하려고 하였다. 부국강병을 위해 외국에서 각종..

경제이야기 2021.04.25

우리는 왜 갈등을 죄악시하는가? - 화합이라는 이름의 장벽

우리는 왜 갈등을 죄악시하는가? - 화합이라는 이름의 장벽 사회는 다양한 생각과 이해관계로 얽혀 있는 곳이다. 각자의 처지와 환경 그리고 살아온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생각이 다를 수 밖에 없다. 또한 각자가 무엇을 하며 살아가는가가 다르기 때문에 이해관계도 상반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것은 인간이 사회를 구성하여 살아가는 이상 피할 수 없는 숙명과 같은 것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결코 그 자체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도 잘못된 것도 아니며 도리어 인간사회의 발달을 위해 필요한 사실이다. 우리는 ‘다름’을 ‘틀림’으로 여겨서는 안 되며 설령 그것이 ‘틀림’이라 할지라도 억압적인 방법으로 이를 소멸시키거나 해소시켜도 안 된다. ‘틀림’이란 인간이 불완전 존재이기에 어쩔 수 없이 나타나는 현상이며 그것을..

정주영은 왜 대통령이 되려고 했는가? 압축적 근대화의 명암

정주영은 왜 대통령이 되려고 했는가? 압축적 근대화의 명암 근대사회를 만들어낸 4대 혁명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시민혁명, 산업혁명, 민주혁명, 사회민주혁명이라 할 수 있다. 시민혁명은 바로 영국의 청교도 혁명, 미국독립혁명, 프랑스대혁명 등의 부르조아지 혁명을 말한다. 산업혁명은 인류가 자본주의를 가져온 공업혁명을 말하며 민주혁명이란 민주주의를 이룩한 혁명이다. 마지막으로 사회민주혁명이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조화롭게 공존시킴으로써 민주혁명을 완성시킨 혁명이라 하겠다. 시민혁명은 무엇을 가져온 혁명일까? 민주주의? 전혀 아니라고 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완전한 답은 아니다. 시민혁명을 부르조아지 혁명이라고 부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그것은 부르조아지를 위한 혁명이었다. 봉건귀족들에 지배되던 세상을 상인..

나의 이야기 202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