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교육헌장 2

정주영은 어떻게 쌀 가게를 인수하게 되었나? (14)

민족지도자 정주영의 탄생 -‘산업보국’으로 완성된 그의 삶(2) 3. 한국전쟁으로 애국애족을 느낀 정주영(85p) 4. 산업보국을 정주영에게 일깨워준 박정희(86p) 5. 민족주의적 기업가 정주영의 탄생 –기업가에서 지도자로(86p) 6. ‘경제에는 국경이 없으나 기업인에게는 있다’ 애국애족은 과거의 유물이 아니다. (87p) 3. 한국전쟁으로 애국애족을 느낀 정주영 미츠비시재벌의 성립과 발전의 모습에서 정주영의 현대의 모습을 떠올리는 것은 필자만일까? 물론 현대는 미츠비시처럼 국가의 강력한 지원을 통해 일어난 것도 아니고 조선소 불하 같은 특혜를 통해 성장한 것도 아니다. 하지만 조선 사업도 자동차 사업도 또한 건설의 발전도 국가적 필요성에 부응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미츠비시와 마찬가지로 애국..

경제이야기 2021.06.01

정주영은 어떻게 쌀 가게를 인수하게 되었나(7)

‘이 땅에 태어나서’ 시대적 사명을 다한 정주영((1) 1. 국민교육헌장이 그리워진 이유 2. 공동체 정신이 사라지고 혐오 사회가 된 대한민국 3. 문제해결의 길은 역사에 있다. 4. 시대가 영웅을 만드는가 영웅이 시대를 만드는가? 영웅과 시대의 조화 1. 국민교육헌장이 그리워진 이유 “우리는 민족중흥의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 요즘 세대는 몰라도 우리 세대에게는 너무나 낯익은 문장이다. 1969년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이름으로 선포된 ‘국민교육헌장’의 맨 첫 부분이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 ‘국민교육헌장’을 못 외우면 벌을 받기 때문에 억지로 외웠던 기억이 지금도 새롭다. 어린 나이기에 망정이지 어른이 되어 외웠다면 고생했을 것이다. 지금 생각해 봐도 그 나이에는 외우는 것 하나는 끝내주게 잘 했..

경제이야기 2021.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