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도쓰바시대학 2

재계에 바라는 리더십- 제2의 정주영을 기대하면서

재계에 바라는 리더십- 제2의 정주영을 기대하면서 예전에 어느 재벌그룹 총수가 이런 말을 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하며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라는 것은 터무니없는 소리다. 기업은 고용을 창출하고 좋은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주에게 이익을 배당하는 것으로 충분히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원문대로는 아님) 언 듯 들으면 제법 타당성이 있는 것 같다. 물론 위에서 언급된 내용은 기업이 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사회적 책임이라는 사실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거기에 더 한다면 세금을 충실히 내고 법을 준수하여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 아닐까 한다. 하지만 정말 그것으로 다 끝나는 것일까? 이 문제를 개인에게 적용해 보자. 한 개인이 직장이나 사업장에서 열심히 일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나의 이야기 2021.02.03

대한민국 왜 싸우고 있을까? (2)내부 지향적 자세

대한민국 왜 싸우고 있을까? (2)내부 지향적 자세 필자의 모교인 일본 히도쓰바시 대학에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후배가 한 말이다. 그는 외교관인 부모님 덕에(?) 여러 나라에서 살아 본 경험이 있었다. 영국에서도 거주해 보았다고 하기에 일본과의 차이를 물어보았을 때 들었던 답이다. “영국사람들은 도와 달라고 하기 전에는 절대 도와주지 않지만 일단 도와 달라고 하면 너무나도 친절합니다. 일본사람들은 말하기도 전에 뭐 필요한 거 없냐고 접근하고요.” 이것은 일본인 학자에 의해서도 확인된 사실이다. 심지어 미국하고도 그런 점에서 영국은 다르다. 영국에서 사는 일본인 학자가 미국에서 잠시 거주하던 때의 경험담이다. 자신은 걸으면서 생각을 하는 것이 좋아 학교까지 걸어가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영국에서는 지나가..

나의 이야기 2021.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