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사회 2

정주영은 어떻게 쌀가게를 인수하게 되었나? (6)

정주영의 얼굴은 늘 밖을 향해 있었다- 분열과 대립을 넘어서는 길(1) 1. 실체 없는 ‘혐오’로 가득찬 대한민국 2. 혐오론의 횡행은 서로를 바라보는 사회의 일반적 현상 1. 실체 없는 ‘혐오’로 가득찬 대한민국 2016년 봄에 강남역에서 일어난 어느 살인사건으로 우리 사회에는 ‘혐오’가 핵심적 키워드로 등장하게 되었다. ‘여성 혐오’(김치녀)를 필두로 이에 대한 대항의식으로 생긴 ‘남성 혐오’(한남충)가 제기되자 혐오의 퍼레이드가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아버지 혐오’ ‘가장 혐오’ ‘엄마 혐오’(맘충) ‘어른 혐오’(‘꼰대) ‘세대혐오’(86세대기득권론) ‘노인혐오’(틀딱충) ‘중고생 혐오’(급식충)‘대학생 혐오’(알바충) ‘사회인 혐오’(월급충) 등등 실로 다양하고 화려한 혐오가 이 사회를 덮고 있..

경제이야기 2021.05.07

넘치는 사랑 불행한 대한민국 작품 소개(1)

넘치는 사랑 불행한 대한민국 작품 소개(1) 목 차 1. 어느 택배기사의 죽음이 보여주는 어두운 현실 2. 사랑은 넘치나 불행한 대한민국 1. 어느 택배기사의 죽음이 보여주는 어두운 현실 택배기사 한 명이 또 극단적 선택을 했습니다. 택배회사의 일을 하면서도 직원이 아닌 사업자 취급을 받고 있는 택배기사들 수송수단인 트럭과 각종 장비를 스스로 마련해야 하고 그러면서 지역을 담당하게 하여 정해진 물량을 소화할 것을 강요당하는 이중적 구조에 시달리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저도 학습지교사를 하면서 이러한 이중적 구조를 제대로 경험했지만 그래도 트럭이나 장비 같은 것으로 많은 비용을 지출하지는 않았으니 훨씬 나은 편이었죠. 택배 대리점은 그에게 가혹한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권리금을 300만원 내게 했고(형식적으로..

교육 이야기 2021.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