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지기 4

헌금을 얼마나 내야 될까요? 참된 헌금의 의미

헌금을 얼마나 내야 될까요? 참된 헌금의 의미 43예수께서 제자들을 불러다가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가난한 과부는 헌금함에 넣는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44그들은 다 그 풍족한 중에서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의 모든 소유 곧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 (마가복음 12장 43-44절) 여러분들은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 얼마나 돈을 쓰십니까? 가장 좋은 사례는 자녀에 대한 돈씀씀이입니다. 자녀에게 돈을 쓸 때 적당히 쓰십니까 아니면 아낌없이 쓰십니까? 나 쓸 것 다 쓰고 남은 것으로 쓰십니까 아니면 먹을 것 줄이고 사고 싶은 것 줄이고 아껴가며 쓰십니까? 아마 정상적인 부모라면(아주 드물지만 그렇지 않는 비정상적인 부모도 있기는 합니다. 아마 후자일 것입니..

교육 이야기 2022.07.21

누구를 위한 물질인가?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하여!

누구를 위한 물질인가?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하여! 경제가 나빠지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예를 들어 봅시다. 1990년대 중후반에 일본 경제는 장기적 침체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그 원인은 돈이 돌지 않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공장이나 가게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급여를 받아 이를 다른 곳에서 사용하게 되면 그것이 소득이 되어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지불되고 그들이 또다시 어디선가 그 돈을 쓰면 또다시 소득이 발생하는 과정이 무한 반복되며 경제는 유지되고 성장합니다. 그런데 이 당시 일본은 그러한 흐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기에 침체에 빠집니다. 그 이유는 버블경제의 붕괴였습니다. 1985년 플라자 합의로 엔화의 가격이 상승하며 일본은 ‘엔고불황’에 시달렸고 이를 해결하고자 저금리 정책을 써서 경제를..

교육 이야기 2021.10.18

정주영은 어떻게 쌀가게를 인수하게 되었나?(3)

민족의 멘토가 된 정주영이라는 이름! 2021년 3월 21일은 고 정주영 회장의 서거 20주년의 날이었다. 20세기 대한민국의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의 20주기는 그러나 조용히 지나가고 말았다. 그것은 코로나 19사태로 후손들이 “대면접촉을 최소화한 행사들로 고인의 뜻을 사회에 전한다”고 하였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코로나 19사태가 없었더라도 과연 그의 20주기가 우리 사회의 관심을 대대적으로 받았을지는 의문이다. 경제인에 대한 대우가 과거에 비하면 좋아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다른 분야의 유명인사에 비하면 평가절하되고 있는 우리의 풍토를 고려하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을 것 같다. 필자가 구독하는 거대 중앙일간지에는 어떠한 기사나 컬럼도 실리지 않았고 다만 경제지에서만 그의 20주기에 대한 기사와 컬럼..

경제이야기 2021.05.02

예수의 경제학(4) 예수 경제정의를 말하다. (포도원 농부의 비유)

예수의 경제학(4) 예수 경제정의를 말하다. (포도원 농부의 비유) (해설) 성경에는 경제에 대한 이야기가 엄청난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어떤 사람은 성경에서 경제에 대한 이야기를 빼면 부스러기만 남을 것이라고 했을 정도이다. 그만큼 경제는 인간에게 중요한 부분이라는 의미로 마르크스의 생각은 틀리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기독교의 창시자 예수의 경제관을 통해 우리가 지향해야 할 사회를 생각해 보기로 하자. 이번 이야기는 포도원 주인과 소작농들의 이야기이다. 포도원 품꾼과 달리 이번에는 종도 고용인도 아닌 소작농이라는 것이 특이하다. 소작농은 주인이 경영을 위탁하여 생산을 하고 그에 대하여 소작료를 지불하는 관계이기에 보다 독립적인 성격이 강한 존재이다. 따라서 이 비유에는 주인과 소작농 사이에 갈등과 대립이..

나의 이야기 2021.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