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부격차 3

언제까지 욕망의 종노릇 하는 삶에 머무르실 겁니까?

언제까지 욕망의 종노릇 하는 삶에 머무르실 겁니까? 3참 과부인 과부를 존대하라 4만일 어떤 과부에게 자녀나 손자들이 있거든 그들로 먼저 자기 집에서 효를 행하여 부모에게 보답하기를 배우게 하라 이것이 하나님 앞에 받으실 만한 것이니라 8누구든지 자기 친족 특히 자기 가족을 돌보지 아니하면 믿음을 배반한 자요 불신자보다 더 악한 자니라(디모데전서 5장 3-4절, 8-9절) 요즘 우리나라 사람들의 삶은 어떤 것일까요? 무엇을 위한 삶을 살아가는 것일까요? 사람들은 sns를 통해 자신들의 삶을 공개하는 것을 꺼리지 않고 있기에 도리어 그들이 무엇을 위해 사는지를 잘 알 수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여행을 다녀왔다느니 또 어떤 사람은 취미생활을 얼마나 신나게 즐기고 있는지 같은 소식을 전해옵니다. 그에 대한 ..

교육 이야기 2022.05.09

생각의 변화로 만들어지는 세상의 변화(1) 경제는 사상이다4

생각의 변화로 만들어지는 세상의 변화(1) 경제는 사상이다4 빈부의 격차가 커지는 현상인 양극화는 진보 보수진영을 막론하고 사실로서 인식되고 있다. 문제는 그것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하느냐는 점이다. 보수는 성장을 통해 해결되는 문제이니 성장을 위해 친기업적인 정책을 주장한다. 증세를 거부하고 경제규모에 맞는 복지정책실시(복지에 대한 제한) 비정규직확대 정규직의 축소 및 질적 악화 규제완화를 통한 기업활동의 자유화 등을 통해 기업이 마음껏 성장할 수 있게 해주면 문제는 해결된다는 신념을 조금도 버리지 못한다. 이에 비해 진보는 복지와 증세 정규직확대 규제강화 등을 통해 분배가 공정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수요를 확대시킴으로써 성장을 가져올 수 있다고 하고 있다. ‘ 국제시장’과 ‘변호인’이라는 대조적인 내용..

경제이야기 2021.05.07

부동산 어떻게 해야 하나?(8) 사유재산의 절대성론은 시대착오이다.

부동산 어떻게 해야 하나?(8) 사유재산의 절대성론은 시대착오이다. 와다 하루키의 명저 ‘러일전쟁’에는 1884년 당시 청국 주재 러시아 대리공사 베베르의 조선에 대한 인상적인 보고가 실려있다. 베베르는 1884년 7월 19일 조선을 방문해 김옥균과 국교 교섭을 타결하여 양국 간에 국교가 수립되는 성과를 올렸다. 그 후 천진에 복귀하여 조선에 관한 의견서를 외무성에 보내게 되는데 그것은 매우 호의적인 내용이었다. 베베르는 1876년에 대리공사에 취임한 무렵 연해주를 여행하고 이주 조선인들을 “근면한 일꾼, 훌륭한 농부이며 좋은 가정인”이며 현지 적응능력이 매우 뛰어나다고 하는 좋은 평가를 내린 바 있다. 그런 그가 조선을 방문하고 내린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평가가 실려있었다. “조선은 부유한 나라는 아..

경제이야기 2021.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