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감정론 2

생각의 변화로 만들어지는 세상의 변화(3) 시장과 불평등의 관계1

생각의 변화로 만들어지는 세상의 변화(3) 시장과 불평등의 관계 11 프랑스의 문호 빅톨 위고의 명저 레미제라블은 프랑스 파리에서 일어난 저항운동을 배경으로 대부분의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 장발장이라는 우리에게 낯익은 주인공이 그를 쫓는 자베르 경감을 피해 고아 소녀 꼬제트를 데리고 파리에서 살게 되고 거기서 성장한 꼬제트가 마리우스라는 청년과 사랑에 빠지게 되는데 마리우스가 저항운동의 핵심 멤버이기에 꼬제트와 장발장은 본의 아니게 시민운동에 휘말리는 운명에 놓이게 된다. 총에 맞아 죽어가던 마리우스를 업고 파리의 지하 하수도를 헤매는 장발장의 모습은 숭고하기 이를 데 없다. 그 덕에 마리우스는 대부분의 동료들이 죽어간 가운데 기적적으로 살아나 꼬제트와 결혼하게 되고 장발장은 두 사람의 행복을 빌며 조..

경제이야기 2021.05.17

부동산 어떻게 해야 하나?(8) 사유재산의 절대성론은 시대착오이다.

부동산 어떻게 해야 하나?(8) 사유재산의 절대성론은 시대착오이다. 와다 하루키의 명저 ‘러일전쟁’에는 1884년 당시 청국 주재 러시아 대리공사 베베르의 조선에 대한 인상적인 보고가 실려있다. 베베르는 1884년 7월 19일 조선을 방문해 김옥균과 국교 교섭을 타결하여 양국 간에 국교가 수립되는 성과를 올렸다. 그 후 천진에 복귀하여 조선에 관한 의견서를 외무성에 보내게 되는데 그것은 매우 호의적인 내용이었다. 베베르는 1876년에 대리공사에 취임한 무렵 연해주를 여행하고 이주 조선인들을 “근면한 일꾼, 훌륭한 농부이며 좋은 가정인”이며 현지 적응능력이 매우 뛰어나다고 하는 좋은 평가를 내린 바 있다. 그런 그가 조선을 방문하고 내린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평가가 실려있었다. “조선은 부유한 나라는 아..

경제이야기 2021.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