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진학률 2

다시 고개 드는 세대갈등론에 관하여

다시 고개 드는 세대 갈등론에 관하여 2019.08.28 | 한겨레 투고글 최근 세대 갈등론이 언론의 조명을 받고 있다. 이철승 서강대 교수의 로 인해 촉발된 세대 갈등론은 보수·진보를 가리지 않고 언론의 조명을 받고 있다. 도 최근 저자와의 인터뷰를 실었다. 미국에서 귀국한 지 얼마 안 돼 한국 실정에 밝다고 할 수 없는 한 교수의 주장에 이토록 귀를 기울이는 이유가 무엇인지 의구심이 든다. 이런 세대갈등론은 그 기만성이 입증된 주장이다. 자본주의의 모순을 세대갈등으로 바꿔치기하여 희석시키려는 시도는 과거에도 있었다. 자식의 일자리를 아버지가 빼앗는다는 단순한 논리는 언뜻 그럴듯하게 보이지만 사회경제적 문제를 ‘노노 갈등’으로 만들어버리는 것으로, 자본의 책임에 면죄부를 주는 논리다. 보수언론은 그렇다..

사회이야기 2021.05.08

부모보다 가난한 세대라고? 팩트체크 해 보자!

부모보다 가난한 세대라고? 팩트체크 해 보자! 잘못된 편견과 선입견은 언제 어디에서든 사람들의 판단력을 흐리게 한다. 오늘날 대한민국에도 떠도는 편견과 선입견은 우리 사회에 분열을 조장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세대 간 갈등을 조장하는 편견과 선입견도 마찬가지이다. 부모보다 가난한 세대의 출현? 과연 이것은 어느 정도 사실일까? 사실이 아니라면 왜 이런 편견과 선입견이 태어났을까 확인해 보자. 우선 자산 격차부터 생각해 보자. 직장생활이나 사업을 2,30여 년간 하여 나름대로 자산을 보유한 기성세대와 취업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젊은 세대 사이에 자산 격차가 나는 것은 당연하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자. 게다가 지금의 기성세대가 모두 비슷하게 자산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다. 대기업에서 정년까지 일하며 퇴직..

나의 이야기 2020.12.24